본문 바로가기
생활

가결 부결 뜻 쉽게정리

by 그래잇20 2024. 12. 16.
반응형

요즘 TV에서 가결과 부결 용어가 많이 나옵니다.
가결이 통과 됐다는건지, 부결이 통과됐다는건지, 찬성인지 반대인지 뜻이 헷갈리기도 하지요.


가결과 부결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의사결정 과정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특히 입법부나 각종 위원회, 이사회 등에서 안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으로, 우리의 일상적인 의사결정 과정에서도 자주 마주치게 됩니다.

가결 뜻


가결은 제안된 안건이나 법안이 필요한 찬성표를 얻어 최종적으로 통과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히 '통과'라는 의미를 넘어서, 해당 안건이 공식적인 효력을 가지게 된다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가결 사례 중 하나는 1964년 민권법(Civil Rights Act)의 통과입니다. 당시 인종차별 철폐를 위한 이 획기적인 법안은 상원에서 길고 치열한 토론 끝에 가결되어 미국 사회의 큰 변화를 이끌어냈습니다.

부결 뜻

부결은 제안된 안건이나 법안이 필요한 찬성표를 얻지 못해 통과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결된 안건은 법적 효력을 가질 수 없으며, 새로운 제안이나 수정을 통해 다시 논의되어야 합니다.
미국 역사에서 중요한 부결 사례로는 1919년 베르사유 조약의 상원 부결을 들 수 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윌슨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추진했던 국제연맹 가입을 포함한 이 조약은 상원에서 부결되어, 결과적으로 미국의 국제연맹 참여가 무산되었습니다.

현대 민주주의에서 가결과 부결의 과정은 매우 체계적이고 명확한 규칙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일반적으로 의결정족수라는 개념이 적용되는데, 이는 안건의 가결에 필요한 최소한의 찬성표 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 하원에서 일반적인 법안은 출석 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가결되지만, 대통령 거부권을 무력화하기 위해서는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필요합니다.

가결과 부결의 과정은 때로는 극적인 역사적 순간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1965년 투표권법(Voting Rights Act) 가결은 미국 민권운동의 큰 승리였으며, 1972년 평등권 수정안(Equal Rights Amendment)의 최종 부결은 미국 여성운동에 큰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이처럼 가결과 부결은 단순한 행정적 절차를 넘어 역사의 흐름을 바꾸는 중요한 순간을 만들어내곤 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가결과 부결의 개념은 정부나 국회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사회, 학교의 운영위원회, 아파트 입주자 대표회의 등 다양한 조직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 단지의 재건축 결정, 회사의 합병 안건, 학교의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 도입 등이 모두 가결과 부결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러한 의사결정 과정은 민주주의의 핵심적인 요소로,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합의를 도출하는 중요한 수단이 됩니다. 때로는 첨예한 대립과 논쟁이 있을 수 있지만, 최종적인 가결 또는 부결을 통해 공동체의 의사를 결정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을 설정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가결 뜻과 부결 뜻은 명백히 반대의 뜻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가결은 통과됐다는 의미이고 부결은 통과되지 못했다는 의미로 쉽게 이해하면 됩니다.